이인석(2019). 묘공(妙空) 대행(大行)의 실천성과 지성성(한국불교사연구15) > 관련논문

The Center for Daehaeng-Seon Studies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관련논문

관련논문 이인석(2019). 묘공(妙空) 대행(大行)의 실천성과 지성성(한국불교사연구15)

본문

妙空 大行의 실천성과 지성성
이인석(청동, 한마음선원)


본고는 현대 한국 불교사에 큰 획을 그은 비구니인 묘공당 대행선
(妙空大行 1927~2012, 이하 대행으로 약칭)의 실천성과 지성성을 그의
생애와 사상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 먼저 대행의 극한의 두타행
과 깨달음 후의 괄목할만한 성취를 살펴봄으로 인하여 대행의 생애
에 있어서의 실천성과 그 의의를 살펴볼 것이다
.
대행의 생애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고는 그의 생애를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 볼 것이다
. 첫째는 탄생과 유아기, 둘째는 첫 번째 깨달음이
있었던
9세 전후, 셋째는 한암스님을 만났던 십대, 넷째는 극도의
고행을 했던 이십대에서 삼십대초반
, 다섯째는 수없는 이적을 보였
던 삽십대
, 여섯째는 대중포교기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그의 생애에서 보이는 특징은 다섯 가지가 있다.
중 첫째는 그의 수행에서 보이는 자성불에 대한 완전한 믿음과 놓
음의 중요성이다
. 둘째는 깨달음 이후의 그의 신이한 행적의 역사

적 희유성이다. 셋째는 그의 깨달음에 나타나는 만 중생을 위한 자비의 대승정신이다

넷째는 생활속에서의 수행의 강조이다. 다섯째

는 그의 無相·無作行의 측면이다.
한편, 사상적으로는 그의 사상이 대승불교의 교과서라고 하는 

타난다. 一心은 한마음에 해당한다. 二門은 주인공에 해당되니 이
주인공은 부동의 근본으로서의
주인과 고정됨이 없이 작용하는
이 합해진 단어이니 이는 체와 용의 결합을 의미하며 심생멸과
심진여문의 불가분리를 의미한다
. 그러므로 이 주인공이란 단어는
이문의 의미도 되며 이문을 갖춘 진여의 의미도 된다
.
三大는 삼합에 해당되니 이 삼합이란 생명의 근본인 불성·마음내
는 것
·육신의 작용의 세 가지이다. 다시 말해 삼합이란 생명의 근
본이 있으므로 살아있으며
, 살아있으므로 생각할 수 있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움직일 수 있는 인간의 세 가지 구성원리를 말한다
.
그런데 이러한 이문과 삼대의 작용 자체가 신해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은 이것이 바로 본래의 부처의 능력과 작용이기 때문이다
.
러므로 본래로 일심인데 이 일심이 이문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이문이 삼대의 구조를 가지고 있음은 본래로 부처인 중생의 구
조를 의미한다
.
그러나 이러한 한마음이자 부처로서의 지혜와 능력을 갖추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중생은 자신의 한마음의 공덕을 감지하지 못하는 까
닭에 고통을 벗어나지 못한다
. 아집과 법집에 가로막혀 자신의 일
거수 일투족이 한마음의 공덕의 작용임을 감지하지 못하고 모든 것
을 자기 자신이 하는 것으로 아는 전도몽상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
. 그러한 까닭에 무명에 덮여 있다고 하는 것이요, 불각인 것이
, 그 결과로 고통을 벗어날 길이 없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행은 이 고통을 벗어나기 위하여 중생은 자신의 근본인
한마음을 지극한 마음으로 굳게 믿고 중생으로서의 자신을 진여로
서의 한마음에 내려놓아야 한다고 한다
. 그리하여 자신이 살고 있

다는 전도몽상에서 벗어나 자신의 일거수일투족이 한마음의 작용
임을 증득하라는 것이다
. 이러한 일거수일투족에서의 한마음에로
의 계합을 止와 觀의 겸수라고 할 수 있으니 이것은 모든 것을 근
본에 놓아 자신이 하는 게 하나도 없어지는 止이되 근본의 작용으
로 소소영영하게 보고 듣고 생각하는 까닭에 觀인 것이다
. 이와 같
이 주인공에 믿고 맡기는 수행이란 止에만 집착하지도
, 觀에만 머
무르지도 않는 지관쌍운인 것이니 이를 대행은
함이 없는 행이라
고 한다
.
이러한 계합을 통한 지와 관의 겸수에 있어서도 차원의 높낮이가
없지 않으며 이 차원의 단계를 대행은 세 가지 관의 차제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으니 내 일심으로의 관
, 무심으로의 관, 둘 아닌 관이라
고 하고 있다
. 이상의 과정이 대행에게 있어서 시각과 본각이 둘이
아닌 가운데 본각을 회복하는 과정이 된다
.
이와 같이  대승기신론 과 대행의 일심·이문·삼대의 원리가 동일

하게 본래로는 본각임에도 불구하고 무명으로 인한 불각으로 인해

고통의 원인이 되며, 그 고통을 벗어나 본각으로 돌아가는 방법으

로 진여의 체에 중생으로서의 자신을 믿고 놓음을 설하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 사상이란 점을 알 수 있다.


주제어 : 일심, 이문, 삼대, 묘공 대행, 대승기신론, 한마음선원.

첨부파일

Total 22건 1 페이지
관련논문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22 단행본 운영자 257 2024-07-26
21 단행본 운영자 261 2024-07-26
20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291 2024-07-22
19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291 2024-07-22
18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267 2024-07-22
17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352 2024-07-22
16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296 2024-07-22
15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278 2024-07-22
14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243 2024-07-22
13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243 2024-07-22
열람중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300 2024-07-22
11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260 2024-07-22
10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275 2024-07-22
9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281 2024-07-22
8 관련논문 대행선연구원 295 2024-07-22

검색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