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홍서원의 사상적 연원 탐구 / 이수창(마성)(팔리문헌연구소장) 2022.08. 9집(455-490) > 논문 다운로드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9집 사홍서원의 사상적 연원 탐구 / 이수창(마성)(팔리문헌연구소장) 2022.08. 9집(455-490)

이수창(마성)(팔리문헌연구소장) 2022.08. 9집(455-490) 10.23217/jhms.9.1.202208.008

본문

초록

이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의식문으로 통용되고 있는 ‘현행 사홍서원은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인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한 것이다.

붓다의 최초 설법인 「전법륜경轉法輪經(Dhammacakkapavattana-sutta)」에 나타난 사성제四聖諦(cattāri ariyasaccāni)는 초기불교의 중요한 교설이면서 실천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사성제의 실천 체계는 시전示轉, 권전勸轉, 증전證轉의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 제2단계 권전勸轉이 사성제의 실천 체계에서 가장 중요하다. 이른바 고성제는 알아야 할 것(pariññeyya, 知)이고, 고집성제는 끊어야 할 것(pahātabba, 斷)이며, 고멸성제는 실현해야 할 것(sacchikātabba, 證)이고, 고멸도성제는 닦아야 할 것(bhāvetabba, 修)이다. 사홍서원은 초기경전에 나타난 사성제의 실천 체계를 대승불교의 원바라밀願波羅蜜(praṇidhāna-pāramitā) 사상으로 승화시킨 것이다. 따라서 동아시아 대승불교권에서 의식문으로 통용되고 있는 현행 사홍서원의 사상적 연원은 초기불교의 사성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홍서원은 사성제에서 곧바로 형성된 것이 아니다. 여러 단계의 전개 과정을 거쳐 현행본으로 정착되었다. 사홍서원의 모태가 될 수 있는 사상은 이미 초기 대승경전에 나타난다. 그러나 아직 원바라밀로 발전하지는 않았다. 그 후 중국에서 대승경전에 나타난 사성제의 실천 체계를 현행의 사홍서원 게송문으로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거쳤다. 현행 사홍서원의 원형은 천태지의天台智顗의 『마하지관摩訶止觀』에서 찾을 수 있다. 지의의 게송문이 점차 다듬어진 것이 안진호安震湖 편, 『석문의범釋門儀範』에 수록된 현행 사홍서원이다.




This study began with a question about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Four Great Vows, commonly used in Korea today as a ritual text.

The concept of the Four Noble Truths (cattāri ariyasaccāni) ― presented in Buddha’s first teaching titled the (Setting the Wheel of Dhamma in Motion) ― is an essential teaching of Early Buddhism and explains a system for applying his teachings. This system consists of three stages: indicative stage, hortatory stage, and evidential stage. Of these three stages, the second stage ― hortatory stage ― is most important. The truth of suffering must be understood (pariññeyya); the cause of suffering must be severed (pahātabba); th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must be realized (sacchikātabba); and the truth of the path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must be cultivated (bhāvetabba). The Four Great Vows refined the applica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found in Early Buddhist sutras into the perfection of the vow (praṇidhāna-pāramitā), aprofound resolution to attain enlightenment in Mahayana Buddhism. Therefore, the philosophical origin of the Four Great Vows ― commonly used as a ritual text in East Asian Mahayana Buddhism ― can be said to be the Four Noble Truths of Early Buddhism.

However, the present version of the Four Great Vows did not evolve directly from the Four Noble Truths, but went through several phases of development. The philosophy that provided the matrix for the Four Great Vows was already seen in early Mahayana sutras. Later, in China, applica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reflected in Mahayana sutras evolved into the present Four Great Vows. The prototype for these vows can be found in Mohe zhiguan,compiled by Tiantai Zhiyi. These verses by Zhiyi were gradually refined and later included in Seongmum uibeom(Buddhist Ceremonial Models), a Korean publication by An Jin-ho.


KEYWORDS

Four Noble Truths, Four Great Vows, perfection of the vow, “twelve applications in the three turns of the wheel of the Dharma,” indicative stage, hortatory stage, evidential stage


목차

Ⅰ. 머리말
Ⅱ. 사성제와 사홍서원의 관계
Ⅲ. 사홍서원의 형성과 전개 과정
Ⅳ. 맺음말
PDF KCI RISS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