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행선에 관한 일고-『한마음 요전』을 중심으로- / 강문선(혜원)(동국대) 2018.08. 1집(214-256) > 논문 다운로드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1집 대행선에 관한 일고-『한마음 요전』을 중심으로- / 강문선(혜원)(동국대) 2018.08. 1집(214-256)

강문선(혜원)(동국대) 2018.08. 1집(214-256)

본문

초록

본 논문은 ‘대행선’을 조사선, 공안선, 간화선, 본래성불론 등의 관점에서 바라보기보다는 그의 생애(1927-2012)에서 스스로 형성된 구도의 과정과 증오證悟를 살펴보는 데에 목표를 둔다. 연구의 범위는 유년기에서 제천 백련사에 당도하여 ‘화광동진和光同塵’하는 시기 이전까지로 하며, 『한마음 요전』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대행의 10대 전후는, 암울한 일제 강점기였으며 가세의 몰락과 부친의 학대 가출과 노숙으로 이어진 극히 어려운 시기였다. 이로 인해 ‘생명’, ‘불확실한 자기존재’, ‘도피처’, ‘실존’ 등에 대해 궁구하게 되었으며 고난의 외부세계보다 내면에서 혹독한 아빠를 대신 할 수 있는 자애로운 ‘아빠’를 찾으려 한다. 대행의 선禪은 여기서 비롯된다. 대행의 나이 9세, ‘누가 나를 이렇게 만들었는가?’라는 간절한 물음은 현실이 분명 차별과 고난의 세계임을 직시한 것이지만, 이 를 벗어난 본래 평화롭고 위안처가 되는 내면의 세계, 즉 ‘그(渠= 아빠)’가 있음을 발견한다. 다시 말해서 ‘그’와 ‘나’가 둘이 공존함을 알게 된다. 14세, 모친을 따라 선지식 한암을 만나게 되고 스님의 자비로운 성품이 기인이 되어 ‘아빠’의 현실의 모습을 보기를 갈망한다. 10년 후, 현실의 ‘나’와 본래의 ‘그’가 불이임을 체득하게 된다. 그동안 현실의 ‘나’가 내면의 ‘그[주인공]’를 따라다녔는데 이제 ‘그’와 ‘나’가 소통이 되고 경계가 없어진다. 말하자면 초관初關을 투득透得한 것이다. 낙발落髮하기 전의 일이다. 24세(1950) 대행은 사미니가 되고, 한암은 대행과의 문답에서 대행의 법기法器를 알아보고 이미 신심身心이 투탈透脫되었음을 안다. 법명을 청각靑覺으로 내리고 ‘이제 네 길을 가라’고 부촉付囑한다. 대행의 만행은 계속되고 무심관으로 편안한 마음에 와 닿는 것에만 응주凝住할 뿐이었다. 어느 날 묘지에서, 또한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서 현실의 ‘나’와 본래성의 ‘그’가 불일불이不一不異임을 철견徹見하였다. 견자성見自性한 것이다. 이후 ‘자유인’으로서 자재 한 권능으로 ‘입전수수入鄽垂手’의 길로 나섰다. 대행은 이미 고된 현실[客]과 안정된 내면의 본래성[主]을 직시하고 관찰하여 이 둘이 공존함을 알았고 객과 주가 불이임을 알았다. 한암은 대행의 선지禪旨를 인가했을 뿐이다. 또한 대행은 중국 당대唐代의 선을 알지 못했다. 그러나 그의 선은 ‘평상무사’의 마조계馬祖系 선禪보다 이를 비판하고 현실태와 본래성을 유지하면서 이 양자를 상즉시키는 ‘자기自己’를 중요시 하는 석두계石頭系 선禪에 상응됨을 살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대행선에서는 자연과 현실의 세계를 직시, 내면의 안락처를 발견, 이를 상즉相卽시키는 ‘자기自己’를 투득하는 것 등이 전부 선禪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대행선의 특색이라고 본다.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the course of truth seeking Venerable Myogong Daehaeng (1927-2012) took by herself and at examining her full awakening to the truth, rather than viewing Daehaeng Seon from the standpoint of patriarch Seon, gongan Seon, ganhwa Seon, or the theory of original buddhahood. The scope of my investigation is restricted to the period ranging from Daehaeng’s childhood to her arrival at Baengnyeonsa Temple in Jecheon City in order to ‘dim her radiance and mingle with the dust of the world’ 和光同塵 as recorded in the Han mau m yojeon: Daehaen g sunim haengjanggi, peobeojip. My thesis is generally based on this book. Before and after Daehaeng’s teen life, Korea was in the gloomy condition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On account of dire poverty and ill-treatment by her father, Daehaeng at that time had an extremely hard time: she frequently run away from home and slept in the open air. But on the contrary this situation allowed her to thoroughly investigate such things as ‘life’, ‘uncertain self-existence’, ‘refuge’, and ‘existence’. She pursued to find out a compassionate ‘father’ in her inner world as a replacement of her cruel father in the troubled external world. This is the starting point of Daehaeng Seon. At the age of nine, Daehaeng came to the recognition of life through the question of “Who led me to such a state?” She looked straight on the reality of the world full of discrimination and hardship, but discovered that there is an inner world, namely ‘he(father),’ in which people can find their inherent peace and refuge beyond this troubled world. In other words, she understood that ‘he’ and ‘I’ are coexistent. At the age of fourteen, when she met Master Hanam, she longed for seeing the actual appearance of ‘father’ with Hanam’s compassionate nature as condition. Ten years after that, she realized that the actual ‘I’ and inherent ‘he’ are non-dual. Before, the actual ‘I’ followed the inner ‘him’[master] but now she penetrated a basic spiritual barrier upon removing the boundary between ‘he’ and ‘I’. In 1950 when she was twenty-four years of age, Daeng became a novice nun. Master Hanam noticed Daehaeng’s capability of following the buddha-way and acknowledged that she had been free from affliction. Hanam gave her the dharma name Cheonggak 靑覺 and entrusted her with an order that she now go her own way. Daehaeng continued her traveling practice firmly abiding in the contemplation of no-thought in which she stayed only at the things touching to her comfortable mind. One day both at a graveyard and from her reflection in water, she reached a thorough realization that the ‘I’ in the actual world and ‘he’ in the fundamental nature are neither the same nor different. Thereafter, in her capacity as a free person, she set off to extend compassion to all sentient beings, manifesting unrestricted competency. Daehaeng had already realized that the troubled reality [guest] and secured inner fundamental nature [master] are both coexistent and non-dual. All Hanam did was merely to approve Daehaeng’s intent of Seon. Furthermore, Daehaeng did not know about the Chinese Chan (Seon) in Tang China. However, rather than being in the style of the ‘ordinary mind is free from troubles’ 平常無事 of Mazu Daoyi 馬祖道一, Daehaeng Seon corresponds to the lineage of Shitou Xiqian 石頭希遷 because Shitou Chan emphasizes the original self whose aspects in the actual world and fundamental nature are not rejected but maintained as they are, and considered as non-different. Like this, we can find that Daehaeng Seon embraces in Seon all the activities such as looking straight on both the nature and actual world; thereby finding out an inner refuge; and realizing one’s ‘original self’ in which one can reach the union of various phenomena. I think this features prominently in Daehaeng Seon.


목차

Ⅰ. 서언
Ⅱ. ‘자기존재’에 대한 의심과 ‘위안처’ 발견
1. 고난과 존재에 대한 의심
2. ‘그’와 ‘나’는 공존
Ⅲ. 선지식의 만남과 만행
1. ‘그’와 ‘나’는 불이
2. 초관初關을 透得
Ⅳ. 삼매와 견성
1. 화두참구와 무심관
2. 주인공을 철견
Ⅴ. 결어
PDF RISS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