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대 불교잡지 『불교진흥회월보』 의 학술 담론과 의의 / 김종진(동국대) 2021.02. 6집(295-335) > 논문 다운로드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6집 1910년대 불교잡지 『불교진흥회월보』 의 학술 담론과 의의 / 김종진(동국대) 2021.02. 6집(295-335)

김종진(동국대) 2021.02. 6집(295-335)

본문

초록

불교진흥회에서 간행한 불교잡지 『불교진흥회월보』는 1915년 3월 창간되어 같은 해 12월 통권 9호로 종간되었다. 『불교진흥회월보』를 포함하여 1910년대 불교잡지에는 시사적인 글 외에도 다양한 학술 담론이 개진되어 있다. 그런데 그동안 이 시기 불교잡지의 학술적 성격은 몇몇 대표 학자의 학문 노정에 국한하여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을 뿐, 본격적인 논의의 대상은 아니었다. 불교잡지는 종교잡지라는 특수성 때문에 인문학계의 관심에서 배제되어 왔고, 불교사학계에서도 잡지를 교단사 기술의 자료로 인식했을 따름이다. 본고는 불교진흥회의 주역들이 발표한 논설의 경향을 살펴 잡지 이해의 기본으로 삼으면서, 특히 『불교진흥회월보』에 다양한 학술 논설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조사하고 그 학술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불교진흥회월보』에는 전통 교학을 계승하는 선禪과 교敎 등 교학에 대한 탐구, 해외 종교와 신흥종교의 등장으로 촉발된 종교 다원화 사회에서 불교의 가치를 앞에 내세우는 비교종교학적 성찰, 범어에서 유래한 불교 어휘의 소개, 한글의 특징 탐구 등 다양한 주제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불교사의 원천 자료를 발굴, 소개한 것은 한국불교사 연구의 초기 성과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두 축은 『불교진흥회월보』가 1910년대 불교계에서 이룩한 국학연구의 본령이라 할 수 있다.



Buddhism Promotion Association Monthly Magazine was, as the name implies, a Buddhist magazine published by the Buddhism Promotion Association. It was first published in March 1915 and the last edition (Volume 9) was printed in December of the same year. Buddhist magazines of the 1910s, like the aforementioned, contained many academic discourses. However, it seems the academic nature of these magazines was limited to the academic observations of individual scholars and only attracted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It seems to me that Buddhist magazines have been mostly excluded from Korean academic circles in discussions of the humanities because of their religious nature. Even in studies of Buddhist history, they are only recognized as sources of data. What I noticed in this study is that Buddhism Promotion Association Monthly Magazine contained many academic discourses, in addition to discourses on Buddhist reforms and propagation.

The magazine’s range of subjects included: Buddhist Seon (禪 meditation) and Gyo (敎 doctrines) that passed on traditional Buddhist teachings and learning; articles on comparative religion that promoted Buddhism over newly imported and newly emerging religions that appealed to a diversified societ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nskrit and Hangeul, etc. In addition, the magazine uncovered and introduced original data about Buddhist history and the early achievements of Korean Buddhism. The magazine was an early achievement to further Korean studies about Buddhism in the 1910s. I also examined the tendency of editorials published by leading figures of the Buddhism Promotion Association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is magazine. To provide data for future research I included a bibliographical presentation of the magazine’s contents.


[Key Words]

Buddhism Promotion Association, Buddhism Promotion Association Monthly Magazine, Lee Neung‐hwa, Yang Geon‐shik, Yu Gyeong‐jong, Buddhism magazine, popularization of Buddhism, Korean Studies in the Buddhist world.


목차

Ⅰ. 머리말
Ⅱ. 거사불교운동의 방향성과 대중화 담론
Ⅲ. 불교학의 탐구 경향과 성과
Ⅳ. 한국불교사 정립과 자료 발굴
Ⅴ. 학술사적 위상
Ⅵ. 맺음말
PDF RISS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