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집 대행선사의 보리심에 나타난 생활선 고찰 / 오현희(한국외대 글로벌캠퍼스 강사)2025.08. 15집(15 - 54)
오현희(한국외대 글로벌캠퍼스 강사) 2025.08.. 15집(15 - 54) 10.23217/jhms.15..202508.001
본문
초록
대행선사(1927~2012)의 보리심 수행은 대승불교의 핵심 이념인 보리심과 자비행을 일상에서 실천하려는 현대적이고 실천적인 가르침으로 주목받는다. 그는 ‘한마음’과 ‘주인공’이라는 수행 개념을 통해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이상을 구체화하며, 현대인의 고통과 삶의 문제를 치유하기 위한 생활선 수행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그의 보리심은 전통적인현교의 개념을 포괄함과 동시에, 밀교의 보리심과도 맥을 같이하며독자적인 수행 체계를 형성한다. 밀교에서 보리심은 단순한 발심을넘어 본래 청정한 당체當體로서, 스스로를 여실히 자각하고 드러내는존재로 이해된다. 대행선사 역시 인간 본래의 마음이 청정하고 자성이공함을 자각함으로써 깨달음과 자비를 실천적으로 구현해야 한다고보았으며, 이를 ‘생활선 수행’을 통한 ‘주인공 관념’으로 구체화하였다. 즉 그는 보리심을 깨달음과 실천의 통합으로 이해하고, 이를 ‘주인공관념’과 ‘한마음’ 수행으로 아울렀다. 대행선사의 가르침은 보리심을자신의 ‘한마음’ 안에서 체증하고, 이를 통해 내재된 불성을 자각하며실천적으로 드러내는 과정을 강조한다. 이는 밀교의 대비로자나불신大毘盧遮那佛身을 내면에서 개현하는 보리심과도 맞닿아 있다. 대행선사는 이러한 내재적이고 자각적인 수행을 현대인의 삶 속에서 자비 실천의방향성으로 제시하며, 고통과 소외, 정서적 고립 등의 현실 문제에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에 본 논문은 대행선사의 보리심과 생활선 수행이 현대인의 내적 평화와 삶의 의미 회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고찰하고, 대승불교 보리심 사상의 현대적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고자한다.
The practice of bodhi mind (bodhicitta) as taught by Seon Master Daehaeng (1927-2012) is notable for being both modern and practical as she sought to apply in everyday life the practices of bodhicitta and compassion, both core ideals of Mahayana Buddhism. Through the concepts of “One Mind (Hanmaum)” and “Master (Juingong),” she embodied the ideals of “seeking enlightenment and teaching sentient beings at the same time,” and presented a method of practicing Seon in daily life to heal the suffering and problems of modern society. Notably, her practice of bodhicitta encompasses the concepts of traditional exoteric Buddhism while also aligning with the concept of bodhicitta found in esoteric Buddhism, thus forming a unique practice system. In esoteric Buddhism, bodhicitta is understood to be an inherently pure entity, which is fully aware of and manifesting itself, beyond one’s arousing the aspiration for enlightenment. Master Daehaeng also believed that enlightenment and compassion must be put into practice by recognizing the inherent purity of the human mind and the intrinsic emptiness of human nature. She concretized this as the “concept of the Master” through “practicing Seon in daily life.” In other words, she understood bodhicitta as being the integration of enlightenment and its practice, and combined this understanding with the “concept of the Master” and the practice of “One Mind.” Master Daehaeng’s teachings emphasize the process of embodying bodhicitta within one’s own “One Mind,” thereby realizing and manifesting in a practical way one’s inherent buddha nature. This is also in line with the concept of bodhicitta in esoteric Buddhism, in which it manifests the “Mahavirocana Buddha Body (⼤毘盧遮那佛⾝)” from within. Master Daehaeng suggests this internal and self-realizing practice is the way to practice compassion in modern life, and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al-world problems such as suffering, alienation, and emotional isolation.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how Daehaeng’s teachings on bodhicitta and practicing Seon in daily life can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inner peace and meaning in life for modern society. And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he modern expansion of Mahayana Buddhism’s bodhicitta concept.
목차
Ⅰ. 들어가는 말Ⅱ. 대행선사의 생애와 그의 선사상 배경
1. 대행선사의 생애
2. 대행선사의 선사상 배경
Ⅲ. 대행선사의 가르침에 나타난 보리심
1. 유년 시절의 고난이 보리심의 씨앗이 되다
2. 깨달음 이후 보리심 실천과 지혜의 통합
Ⅳ. 대행 생활선의 현대적 의의와 실천적 시사점
1. 대행 생활선의 적용과 깨달음 체험
2. 놓음과 관법의 현대적 의미
3. 모든 것은 자신으로부터 비롯됨
Ⅴ.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