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봉석朴奉石의 불청佛靑 운동과 사회 활동/김경집(동국대 연구초빙교수)2024.08.13집(329-371) > 논문 다운로드

The Center for Daehaeng-Seon Studies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13집 박봉석朴奉石의 불청佛靑 운동과 사회 활동/김경집(동국대 연구초빙교수)2024.08.13집(329-371)

김경집(동국대 연구초빙교수)

본문

초록

개항 이후부터 광복 때까지 불교학을 연찬한 불교인은 사회적 활동을 통해 근대불교의 지평을 확대하였다.

그러나 광복 후 발발한 6.25 전쟁 도중 납북되어 지금까지 조명되지 못한 분들이 있는가 하면, 불교학을 배웠지만 다른 분야에서 활약했던 관계로 불교계 활동이 제대로 조명되지 않은 분도 있다.

용재 박봉석의 경우 일제강점기 총독부 도서관에서 사서로 근무하였고, 광복 후에는 도서관을 지키고 서적을 보호하여 지금의 국립도서관이 존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 업적으로 도서관의 아버지로 부르며, 그 분야에서는 일찍부터 조명되었다.

그는 1905년 8월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1921년 밀양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사찰 후원으로 중앙고보와 중앙불전에 진학하여 불교를 공부한 불교인이었다.

중앙고보 시절 경성에 유학한 불교 학생들의 모임인 중앙불교학우회에 가입하여 포교 활동에 앞장섰다.

중앙불교전문학교에 진학한 후에는 뛰어난 문재(文才)를 활용하여 불교 관련 문학작품을 다수 발표하였다.

졸업 후 중앙불전 제1회 졸업생이 조직한 이구오팔(二九五八)회에 참여하여 조선불교 발전을 위해 고민하였고, 이 무렵 조직된 조선불교총동맹에도 참여하였다.

조선불교청년회 경성지회가 경성동맹으로 전환될 때도 회원으로 참여하는 등 불교 운동에 앞장섰다.

총독부 도서관에서 근무할 때는 조선불교의 우수성을 드러내려고 노력하였다.

고려대장경을 비롯하여 의천의 고려교장 그리고 조선불교 찬술목록의 정리 등 조선불교 서지학의 문을 열었다.

조선불교 역사에 기여한 인물들을 정리한 *청구승전보람(靑丘僧傳寶覽)*을 발표하였고, 조선불교사 시대 구분을 정리하여 한국불교사 정립을 위해 노력하였다.

광복 후 1947년 10월에는 *조선십진분류표(KDC)*를 완성하여 도서 분류의 독자성을 정립하였다.

광복 후에는 대중불교를 전개하며 일제강점기 훼손된 조선불교의 정체성을 찾으려 노력하였고, 교육활동 역시 활발하게 전개하였으나 6.25 전쟁 중 납북되어 더 이상의 활동을 할 수 없게 되었다.



Buddhist scholars—those active in Buddhist studies from the opening of Korea to foreign countries until its liberation in 1945—expanded the horizon of modern Korean Buddhism through their social activities.

However, the accomplishments of many Buddhist scholars have not been brought to light until now because some of them were abducted and taken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after liberation, while others were active in other fields, and thus their Buddhist activities were relatively less noticed.

In the case of Park Bong-seok (pen name: Yongjae), he worked as a librarian at the Government-General Libra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fter liberation, he guarded the library and protected its books, allowing the current Korean National Library to exist today.

Considered the father of Korean libraries for his achievements, he was recognized early on in the field of library science.

Born in Miryang, Gyeongsangnam-do in August 1905, Park graduated from Miryang Public Elementary School in 1921 and entered Joong-Ang High School.

He was a Buddhist who entered Joong-Ang Buddhist College to formally study Buddhism thanks to the sponsorship of a temple.

During his time at Joong-Ang High School, he joined the Joong-Ang Buddhist Students Association—a group of Buddhist students who had studied in Gyeongsang (then capital of Korea)—and took the lead in Buddhist propagation activities.

After entering Joong-Ang Buddhist College, he used his outstanding literary talent to publish many Buddhism-related literary works.

After graduation, he participated in the "Igu-O-Pal Association"—organized by the first graduating class of Joong-Ang Buddhist College—and gave much thought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He also participated in the Joseon Buddhist General Alliance, which was organized around this time.

He also took the lead in the Buddhist movement by participating as a member when the Gyeongseong branch of the Korean Buddhist Youth Association was converted into the Gyeongseong Alliance.

While working at the Government-General Library, he strove to promote the excellence of Korean Buddhism.

He opened the door to an organized Korean Buddhist bibliography by organizing the Goryeo Daejanggyeong (Tripitaka Koreana), Uicheon’s Gyojang (Uicheon’s Collection of Canonical Works), and a list of Korean Buddhist scriptures.

He published Cheonggu seungjeon boram, which identified figures who contributed to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and worked to establish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by organizing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After liberation, he developed a system called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by Park (KDCP) in October 1947, establishing the independence of book classification in Korea.

After liberation, he promoted popular Buddhism and tried to rediscover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at had been damag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also actively engaged in educational activities, but was kidnapped and taken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and was unable to continue his activities.


목차

I. 서언
II. 박봉석의 학업과 불청佛靑 운동
1. 소속 사찰과 중앙고보 생활
2. 불교청년운동 참여와 역할
III. 역사 인식과 사회 활동
1. 연구 성과에 나타난 역사의식
2. 광복 후 대중불교 활동
IV. 결어
PDF KCI
Total 106건 1 페이지
논문 다운로드 목록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9집
9집
9집
9집
9집
9집
9집
9집
8집
8집
8집
8집
8집
8집

검색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