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망경』 주석서에 나타난 계체론 연구 / 이충환(법장) (해인사승가대) 2023.02. 10집(447-479) > 논문 다운로드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10집 『범망경』 주석서에 나타난 계체론 연구 / 이충환(법장) (해인사승가대) 2023.02. 10집(447-479)

이충환(법장)(해인사승가대) 2023.02. 10집(447-479) 10.23217/jhms.10.1.202302.007

본문

초록

대승보살계를 대표하는 범망경은 본래 경명인 <범망경노사나불설보살심지계품제10梵網經盧舎那佛說菩薩心地戒品第十>에 나타난 ‘심지계’라는 표현과 같이 불성인 마음을 중심으로 계체가 설해지는 보살계경전이다. 그러나  범망경의 여러 주석서 중 가장 대표되는 천태지의의 보살계의소菩薩戒義疏와 현수법장의 범망경보살계본소梵網經菩薩戒本疏 등에서는 마음을 중심으로 한 ‘심법계체’가 아닌 ‘성무작가색’,‘비색비심’ 등의 다른 표현으로 계체론이 논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범망경의 주석서에 나타난 계체론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주석가에 따라 차이점이 생긴 원인을 파악하고, 그 계체론이 범망경의 ‘심지계’와 어떠한 차이를 지니고 있는가를 고찰하겠다.

그리고 범망경을 심법계체의 입장에서 주석하였다고 불리는 원효의 범망경보살계본사기梵網經菩薩戒本私記를 통해 천태지의, 현수법장 과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확인하여 범망경주석에 있어서의 계체론의영향관계도 함께 파악하겠다.

이러한 본 연구는 종래의 서지학적, 문헌학적인 범망경연구를 한층 다각도에서 파악하는 것으로서, 보살계연구에 새로운 시점을 제시하고 동아시아불교의 특징 중의 하나인 보살계경전의 발전상을 고찰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As a representative text regarding the bodhisattva precepts of Mahayana Buddhism, the Brahmajāla Sūtra (Brahmāʼs Net Sutra) is a sutra about the bodhisattva precepts that expounds on the essence of the precepts, which centers around the mind’s inherent buddha nature. This is clearly expressed in the phrase “xindi jie (⼼地戒; mind field precepts),” which is in the sutra’s original title, Fanwang jing Lúshènà Fó shuo pusa xindi jie pin dishi (梵網經盧舎那佛說菩薩⼼地戒品第⼗). However, two texts from the many commentaries on the Brahmajāla Sūtra ― Pusajie yishu (Commentary on the Meaning of the Bodhisattva Precepts) by Tiantai Zhiyi and Fanwangjing pusa jieben shu (Commentary to the Code of the Bodhisattva Precepts in the Brahmāʼs Net Sutra) by Xianshou Fazang ―discuss the essence of the precepts, using expressions like “temporary Form Dharma as an expedient teaching” and “neither form nor mind.” This is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term “essence of the precepts based on Mind Dharma.”

This study focuses on differences in how to interpret the es-sence of the precepts as it is reflected in commentaries on the Brahmajāla Sūtra; it delves into reasons why these differences originated according to the commentaries’ authors, and explores how each interpretation is different from the term “xindi jie (mind field precepts)” found in the Brahmajāla Sūtra. In addition, based on Wonhyo’s Beommanggyeong bosal gyebon sagi(Commentary on the Chapter of the Bodhisattva Precepts in the Brahmāʼs Net Sutra ) ―which is thought to add commentaries from “the essence of the precepts based on Mind Dharma” ― this study explores its similarities with and differences from the interpretations of Tiantai Zhiyi and Xianshou Fazang. In this way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how interpretations on the essence of the precepts influenced commentaries on the Brahmajāla Sūtra.

By exploring the existing bibliographical and philological studies on the Brahmajāla Sūtra from more diverse angles, this study may present a refreshing perspective on research into the bodhisattva precepts, and survey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texts about the bodhisattva precept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Buddhism.


KEYWORDS

Brahmajāla Sūtra, essence of the precepts, Zhiyi, Wonhyo,

Fazang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III. 천태지의의 계체론-성무작가색
IV. 원효의 계체론-심법계체
V. 현수법장의 계체론-비색비심
VI. 결론
PDF RISS
Total 94건 1 페이지
논문 다운로드 목록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9집
9집
9집
9집
9집
9집
9집
9집
8집
8집
8집
8집
8집
8집
8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6집

검색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