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집 선법가의 운용 실태와 미래 방향 윤소희(위덕대 학술연구교수) 본문 선법가의 운용 실태와 미래 방향윤소희(위덕대 학술연구교수) 첨부파일 6-5_윤소희.pdf (19.4M) 18회 다운로드 | DATE : 2021-07-19 23:34:38 목록 논문 다운로드 카테고리 전체1집2집3집4집5집6집7집8집9집10집 Total 78건 1 페이지 게시판 검색 논문 다운로드 목록 10집 Inspired by the Past, Looking to the Future: Japanese Buddhist Nuns Then and Now 10집 Contemporary Activities and Self-understandings of Japanese Buddhist Ordained Women 10집 Bhikshuni Sanghas and Buddhist Revival in Taiwan 10집 Collective Aspirations and Future Prospects for Buddhist Nuns in Myanmar 10집 묘공 대행의 한마음과 종교다원주의 10집 한국비구니대학의 설립과 운영 10집 『범망경』 주석서에 나타난 계체론 연구 10집 화엄과 선의 관계론 재고 9집 한국 비구니 승가의 현황과 미래 방향 9집 생활참선 수행도량, 한마음선원의 포교현황과 미래의 방향 9집 Bhikkhunis in Thailand: Sangha, Society, and Situations 9집 The Bhikkhunī Community in Contemporary Sri Lanka: Fragmentation, Unification and Development 9집 Nuns in Himalayan Buddhist Traditions: Transmission, Adaptation, Innovation 9집 미래 한국불교를 위한 묘공대행의 생애와 사상 재조명 9집 임제선과 대행선의 비교를 통한 회통성 9집 사홍서원의 사상적 연원 탐구 8집 공과 여래장, 그리고 한마음_차상엽(경북대 동서사상연구소) 8집 「공의 나툼」의 체재와 원리에 관한 고찰_박기열(동국대) 8집 나툼으로 향하는 수습위修習位 -유식의 관점에서 본 대행선의 2단계-안유숙(동국대) 8집 대승불교에서 육식부정의 논변과 그 근거: 슈미트하우젠의 논의를 중심으로 _안성두(서울대) 8집 고려말 불교계의 불사와 흥법 운동_황인규(동국대) 8집 능엄경언해를 통해 본 조선 초기 능엄경 수용에 대한 관견_하정수(한국기술교육대학교) 8집 근∙현대 불교계의 한국 선종사 인식과 논의_김경집(한국전통문화대학) 7집 여래장과 여래출현을 통해 본 대행선의 수행관 - 박보람(충북대) 7집 천태학에서 바라본 대행의 불교학 – 천태 오시교상과 대행설법을 중심으로 – 이기운(동국대 불교학술원) 7집 대행선과 묵조선 수행의 심리적 성격 고찰 - 김호귀(동국대 불교학술원) 7집 밀교적 시각에서 바라본 대행선사의 법어 – 『한마음요전』을 중심으로 – 강대현(위덕대) 7집 나툼과 회향을 통해본 대행의 삼공 - 이현중(충남대) 7집 ‘주인공 리더십’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 김영래(고려대) 7집 취미수초翠微守初의 변려문 연구 - 이대형(숙명여대) 7집 태허 남붕과 사명대사‐『밀양 표충사 서간첩』 간독簡牘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김상영(중앙승가대학교) 7집 돈황 출토 티벳어 사본에 나타난 마하연의 선사상 재조명 - 차상엽(경북대 동서사상연구소) 7집 仏教刊行本の特徴と研究方法 ‐ 龍谷大学所蔵,韓国仏教刊行本を中心に ‐불교 고간행본의 특징과 연구방법 – 류코쿠대학소장 한국불교 간행본을 중심으로 – 김혜경(류코쿠대) 6집 조사선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행의 선사상 김방룡(충남대 교수) 6집 대행스님의 정토관 조준호(한국외대 인도연구소) 6집 화엄사상과 대행선 사상 권탄준(금강대 명예교수) 6집 대행선사상의 연원과 그 확장에 따른 구술사 적용 ? 한마음주인공을 중심으로 ? 최동순(동국대 불교학술원) 6집 선법가의 운용 실태와 미래 방향 윤소희(위덕대 학술연구교수) 6집 역병과 한국불교 한상길(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 6집 1910년대 불교잡지 『불교진흥회월보』 의 학술 담론과 의의 김종진(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 6집 탄허, 선사로서의 정체성 김광식(동국대 특임교수) 6집 日本中世における『華?五?章』 解?について 高山寺の??を中心に 野呂 靖 | 龍谷大? 5집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の編集に關する一考察 馬場久幸(日本 佛敎大學) 5집 대행선의 주인공 화두명상 인경(김형록,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5집 신라 사천왕사 관련 불교문화원형 발굴과 활용 방안 / 이재수(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5집 아귀도餓鬼道의 음식적 규정성과 윤리의 상관성에 관한 고찰 / 공만식(수원 가톨릭대학교) 5집 생천生天과 정토왕생淨土往生 개념의 교의적 분기에 대한 고찰 / 김성순(전남대학교) 5집 대행선과 총지선의 성립배경 고찰-무외삼장선요를 중심으로 / 정성준(위덕대학교) 5집 유식관법과 한마음 주인공 관법의 비교 고찰 / 안유숙(동국대학교) 5집 유식사상과 대행선 -'자성신'과 '한마음'을 중심으로- / 안환기(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열린1페이지 2페이지 맨끝 검색 검색대상 논문 제목논문 내용논문 제목+논문 내용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