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의 현대적 활용 재고 / 정준영(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부교수)2025.08. 15집(449 - 503) > 논문 다운로드

The Center for Daehaeng-Seon Studies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15집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의 현대적 활용 재고 / 정준영(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부교수)2025.08. 15집(449 - 503)

정준영(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부교수) 2025.08. 15집(449 - 503) 10.23217/jhms.15..202508.011

본문

초록

본 연구는 불교 수행의 핵심인 사마타(Samatha, 止)와 위빠사나(Vipassanā, 觀)의 현대적 활용과 변화 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먼저 초기불교 문헌을 바탕으로 사마타와 위빠사나가 상호보완적으로 작용 하며, 사마타를 통해 마음의 고요와 집중을, 위빠사나를 통해 현상에 대한 통찰과 지혜를 계발하여 열반에 이르는 길을 제시했음을 분석한 다. 이어 『청정도론 』에서 두 수행법이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분화∙정립되는 과정을 살피며, 사마타-위빠사나의 기능적 분리와 순수 위빠사나 수행의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는 점을 조명한다. 현대 상좌부불교에 서는 미얀마를 중심으로 파욱, 마하시, 고엔카, 순룬, 쉐우민 등 다양한 수행법이 등장하였고, 각 수행처와 지도자의 경험에 따라 선정의 성취 여부, 수행 대상, 방법론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현대 명상과 심리치료 영역에서는 사마타와 위빠사나가 각각 집중(concentration)과 마음챙김(mindfulness) 명상으로 재해석되어, 심신 치유와 스트레스 완화 등 실용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불교 수행의 종교적∙철학적 맥락이 희석되고, 사마타와 위빠사나가 심리치료 명상과 동일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이 역사∙문화적 맥락, 지도자 및 실천 방식에 따라 다양한 변용을 거쳤음을 밝히고, 불교 수행의 궁극적 목표와 현대 심리치료 명상이 추구하는 목적 사이에 본질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따라 불교 수행과 심리치료 명상의 구분 및 올바른 이해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contemporary applications and transformations of Samatha (calm abiding) and Vipassanā (insight) meditation, which are central to Buddhist practice. Drawing on early Buddhist scriptures, the research first analyze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Samatha and Vipassanā, emphasizing how Samatha fosters mental tranquility and concentration, while Vipassanā cultivates insight into phenomena, ultimately leading to liberation. The study then explores the systematic and staged development of these practices in the Visuddhimagga, which introduced a more differentiated and methodical approach, includ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pure Vipassanā” practices independent of deep absorption. Moving to the modern era,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diversity of Samatha and Vipassanā techniques within contemporary Theravāda Buddhism, particularly in Myanmar. It highlight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major meditation lineages such as Pa-Auk Mahasi, Goenka, Sunlun, and Shwe Oo Min, not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thods, objects of meditation, and the role of concentration, all shaped by the experiences and teachings of individual instructors. The study further analyzes how, in the context of modern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Samatha and Vipassanā have been reinterpreted as “concentration” and “mindfulness” meditation, respectively. These practices have been widely adopted as practical tools for mental and physical healing, stress reduc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However, this shift has often led to a dilution of the original religious and philosophical context of Buddhist meditation, and an increasing tendency to equate traditional Buddhist practices with secular mindfulness-based therapies. Through historical and comparative analysis, the research reveals that Samatha and Vipassanā have undergone significant adaptation according to cultural, historical, and individual factors. Importantly, it identifies esse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ultimate aims of Buddhist meditation—namely, the eradication of existential suffering and the attainment of Nirvana— and the objectives of modern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which focus primaril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alleviation of pathological states. The paper concludes by emphasizing the need for a clear distinction and proper understanding between traditional Buddhist practices and contemporary therapeutic mindfulness. It calls for greater awareness of the unique goals and limitations of each approach, cautioning against conflating Buddhist meditation with modern clinical applications. This distinction is crucial for preserving the integrity of Buddhist practice while responsibly integrating mindfulness into contemporary health and wellness context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초기불교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1. 사마타와 지혜
2. 위빠사나와 집중
3. 사마타와 위빠사나의 통합
III. 청정도론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1. 사마타와 집중
2. 위빠사나와 지혜
3. 사마타에서 위빠사나로 전개
IV. 현대 상좌부불교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1. 사마타 수행처
2. 위빠사나 수행처
3. 사마타와 위빠사나의 분리
V. 현대 명상의 사마타와 위빠사나
1. 사마타의 집중 활용
2. 위빠사나의 마음챙김 활용
3. 사마타 위빠사나의 활용 재고
VI. 마치는 말
PDF KCI
Total 11건 1 페이지
논문 다운로드 목록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검색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