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행선사의 보리심에 나타난 생활선 고찰 / 오현희(한국외대 글로벌캠퍼스 강사)2025.08. 15집(15 - 54) > 논문 다운로드

The Center for Daehaeng-Seon Studies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15집 대행선사의 보리심에 나타난 생활선 고찰 / 오현희(한국외대 글로벌캠퍼스 강사)2025.08. 15집(15 - 54)

오현희(한국외대 글로벌캠퍼스 강사) 2025.08.. 15집(15 - 54) 10.23217/jhms.15..202508.001

본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중국 화엄불교의 지관론止觀論과 그 의의를 고찰한 논문이다. 불교의 핵심 수행법인 지관은 지止와 관觀으로 구성되며, 초기불교에서는 별행∙대립 관계로부터 시작하여 유가행파에 이르러 동시적 지관쌍운止觀雙運으로 전개되었다. 초기 화엄교학에서 지엄智儼은 ‘지관쌍행止觀雙行’을 언급하며 유가행파의 지관쌍운을 변용한 것으로 보이지만 현존 자료 부족으로 자세한 내용을 알 수는 없다. 지엄의 뒤를 이은 법장法藏은 상즉상입相卽相入과 유심법계연기唯心法界緣起를 바탕으로 독창적 지관론을 체계화했다. 구체적으로 법장은 지와 관이 상즉하며, “오직 한마음일 뿐(唯是一心)”이라고 설한다. 또한 지를 “공적한 대상(空寂境)”으로, 관을 “체를 비추는 마음(照體心)”으로 규정하고 지관 즉 마음과 대상의 둘이 아님(心境無二)을 주장한다. 이러한 지관융통止觀融通은 수행의 주체∙대상∙행위가 불일불이不一不二로 융섭되는 경계를 의미한다. 또한 법장은 지관을 대승광명삼매大乘光明三昧에 포섭시키는데, 이는 모든 삼매의 총정總定인 여래의 해인삼매海印三昧에 의거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해인삼매는 법계의 모든 법이 동시구족상응同時具足相應하여 나타나는 불해인佛海印으로, 이러한 입장에 따른다면 지관은 중생이 부처가 되기 위한 수행이 아닌 이미 완성된 부처의 행(佛行)으로 재해석된다. 이와 같이 법장의 지관론을 해석한다면 기존의 중생 → 여래 지향적 수행관에서 중생 = 여래 출현적 수행관으로 패러다임을 전환시킴으로써 화엄교학만의 독창적 수행론을 구축했다고 그 의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y of zhiguan in early Chinese Huayan Buddhism and its significance. The core Buddhist practice of zhiguan consists of calming (samatha, ⽌) and contemplation (vipassana, 觀), practices that started from a separate and opposing relationship in Early Buddhism, but later developed into the dual application of calming and contemplation in the Yogacara School. In early Huayan studies, Zhiyan spoke of the “dual cultivation of calming and contemplation (⽌觀雙⾏),” which seems to have been a modification of the Yogacara School’s “dual application of calming and contemplation (⽌觀雙運),” but due to a lack of data, the details surrounding this are unknown. Following Zhiyan, Fazang systematized his original theory of calming and contemplation based on the doctrines of “mutual identity and mutual inclusiveness” and the interdependent arising of the dharma-realm of mind-only. Specifically, Fazang stated that calming and contemplation are mutually identical and that they originate from “only one mind (唯是⼀⼼).” He also defined calming as an “empty and tranquil object (空寂境)” and contemplation as a “mind that illuminates the essence (照體⼼),” and he asserted that mind and the object it perceives are not separate. This convergence of calming and contemplation refers to the realm where subject, object, and practice converge and are neither the same nor different. In addition, Fazang included the concepts of calming and contemplation in the “Luminous Samadhi of Mahayana Buddhism (⼤乘光明三昧),” which can be interpreted as being based on the Tathagata’s Ocean Seal Samadhi, the sum total of all samadhi. “Ocean Seal Samadhi” refers to the Buddha’s Ocean Seal in which all dharmas of the dharma realm are simultaneously perfect and fully intertwined. From this perspective, calming and contemplation are reinterpreted to be the practice of a buddha who has already attained buddhahood, not as a practice for sentient beings to become a buddha. If we interpret Fazang’s theory of calming and contemplation in this way, we can evaluate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established an original theory of practice unique to Huayan studies by shifting the paradigm from the conventional view of practice —in which one develops from a sentient being to a buddha—to the view of practice in which a sentient being manifests buddhahood as an inherent buddha.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대행선사의 생애와 그의 선사상 배경
1. 대행선사의 생애
2. 대행선사의 선사상 배경
Ⅲ. 대행선사의 가르침에 나타난 보리심
1. 유년 시절의 고난이 보리심의 씨앗이 되다
2. 깨달음 이후 보리심 실천과 지혜의 통합
Ⅳ. 대행 생활선의 현대적 의의와 실천적 시사점
1. 대행 생활선의 적용과 깨달음 체험
2. 놓음과 관법의 현대적 의미
3. 모든 것은 자신으로부터 비롯됨
Ⅴ. 나가는 말
PDF KCI
Total 11건 1 페이지
논문 다운로드 목록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검색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