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의의 제법실상과 사실단 해석 연구 -원효·길장과의 비교를 통한 사구분별과 회통적해석을 중심으로- / 김태수(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교수)2025.08. 15집(229 - 269) > 논문 다운로드

The Center for Daehaeng-Seon Studies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15집 지의의 제법실상과 사실단 해석 연구 -원효·길장과의 비교를 통한 사구분별과 회통적해석을 중심으로- / 김태수(서울대학교 규장각…

김태수(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교수) 2025.08.. 15집(229 - 269) 10.23217/jhms.15..202508.006

본문

초록

본 연구는 지의智顗의 제법실상과 사실단四悉壇 해석을 원효, 길장의 해석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중론中論과 대지도론大智度論에서 제시된 대승불교의 제법실상론이 동아시아에서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그 독자적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제법실상과 세속적 교화 방편의 실천적 적용인 사실단, 그중에서도 제일의실단의 궁극적 의미와 그 회통적 성격에 주목하였다. 지의는 사구분별을 해탈 성취를 위한 필연적 전제로 긍정하며, 사구의 방편성을 통해 제법실상에 접근하는 독자적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는 파사破邪를 곧 현정顯正으로 보는 나가르주나와 달리, 원교를 최우선시하는 현정의 입장에서 ‘파즉리破卽離’를 넘어 즉립즉파卽立卽破하며 중도를 지향하는 특색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 원효는 세속의 가명과 승의의 실상을 제일의실단을 중심으로 회통하는 특색을 보이며, 이제의 관점에서 실상 및 실단론을 교차적으로 전개하면서 모든 논의가 사구를 떠난 제일의 측면에서 원융하게 포섭됨을 드러낸다. 길장은 이제와 실단의 불이를 통해 파사 자체로 올바름을 드러내되, 파사 이후 비유비공非有非空으로서의 중도를 지향한다. 이를 통해 나가르주나 이래의 대승불교 제법실상론이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에서 보인 독자적 전개 양상과 사구분별의 회통적 특성이 어떻게구체화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ahāyāna theory of the True Nature of All Dharmas presented in the Mūlamadhyamakakārikā and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was understood in East Asia by comparing Zhiyi’s interpretations of the True Nature of All Dharmas and Four Siddhāntas with those of Wonhyo and Jizang, thereby investigating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ultimate meaning and reconciliatory nature of the Paramārtha-siddhānta among the Four Siddhāntas, which represent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xpedient means for worldly teaching and the True Nature of All Dharmas. Zhiyi affirms tetralemma analysis a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achieving liberation, presenting a distinctive methodology that approaches the True Nature of All Dharmas through the expedient nature of the tetralemma. This demonstrates a unique characteristic that, unlike Nāgārjuna who views the refutation of wrong views (poxie 破邪) as directly revealing the truth (xianzheng 顯正), pursues the Middle Way by simultaneously establishing and refuting (jili jipo 卽⽴卽破) from the perspective of revealing truth that prioritizes the Perfect Teaching, thus transcending mere “refutation as detachment” (po ji li 破卽離). In contrast, Wonhyo demonstrates the distinctive feature of harmonizing conventional provisional designations and ultimate true nature through the Paramārtha-siddhānta, while developing theories of True Nature and Four Siddhāntas from the perspective of Two Truths, revealing that all discourse is perfectly encompassed in the ultimate aspect that transcends the tetralemma. Jizang reveals correctness through the refutation of wrong views itself via the non-duality of Two Truths and Four Siddhāntas, while ultimately orienting toward the Middle Way as neither-being-nor-emptiness (feiyou feikong ⾮有⾮空) after refutation.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seeks to examine how the distinctive developmental patterns and reconciliatory characteristics of tetralemma analysis that the Mahāyāna theory of the True Nature of All Dharmas since Nāgārjuna has demonstrated in East Asian Buddhist intellectual history were concretized.


목차

Ⅰ. 머리말
Ⅱ. 지의의 사구분별을 통한 제법실상 해석과 해탈론
Ⅲ. 지의·원효·길장의 사실단 해석
1. 사실단에 대한 세 논사의 기본 해석
2. 사실단 해석의 특징과 회통적 의미
Ⅳ. 동아시아 불교의 제법실상론과 사실단론에 나타난 회
통적 특성
1. 동아시아 불교의 회통적 해석의 특징
2. 사실단론의 회통적 의미
Ⅴ. 맺음말
PDF KCI
Total 11건 1 페이지
논문 다운로드 목록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15집

검색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