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집 민국 초기 근대적 불교단체의 설립에 관한 소고- ‘불교회’를 중심으로- / 권택규(정선, 동국대학교 강사)2025.08. 15…
권택규(정선, 동국대학교 강사) 2025.08.. 15집(313 - 353) 10.23217/jhms.15..202508.008
본문
초록
1912년 1월 남경에서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건립된 직후 설립된 ‘불교회’는 중국 최초의 근대적 불교조직으로 청말 이래의 불교 운동의 성과를 이어받고 새로운 시대에 불교가 나아갈 길을 제시할 위치에 있었다. 동회의 구성원들은 청말 불교 개혁운동에 종사하던 재가 지식 인들로서 새로운 중화민국 정부와 동일한 정치적∙사회적 지향성을 가지고 보수적인 불교계를 단시간 내에 개혁하려 하였다. 그들은 자신 들이 중국 내의 모든 불교계를 대표한다는 점을 공개적으로 주장하고 이를 신생 중화민국 정부로부터 인정받았으며, 정교분리의 원칙을 주장하여 정치로부터 불교계의 독립을 지키려 하였다. 동시에 출가∙재가를 막론한 모든 불교도가 동등한 자격으로 불교회에 가입하여야 하며 능력에 의해서만 관리권을 가질 수 있음을 천명하였다. 불교회는 교학 연구, 전법, 계율 연구 및 수지 등 불교 내부 사안뿐 아니라 자선사업과 민중 계몽 등도 자신들의 임무로 상정하면서 보편적인 계몽운동 단체로 자임하였다. 그러나 불교회는 소수의 급진적 지식인들에 의해 급하게 구성된 조직인 만큼 현실과 괴리된 측면 및 실천과 강령의 내부 모순도 노정되었다. 당시 불교계의 대부분을 점하고 있던 승단의 존재를 무시하고 모든 불교 관련 업무를 독점하고자 한 점, 이를 위해 국가의 승인을 얻고자 하여 자신들이 원래 표방했던 ‘정교분리’의 원칙을 위배한 점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불교회는 동년 말 해체되었지만 그 실패의 경험이 이후 중국불교 현대화의 디딤돌이 되었음은 부정할 수 없다.
The “Buddhist Association (Fojiaohui)”—established in January 1912 in Nanjing immediate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was the first modern Buddhist organization in China, and was positioned to inherit the achievements of the Buddhist movement that began in the late Qing Dynasty and also to suggest a path forward for Buddhism in the new era. The members of the Association were lay intellectuals who had been engaged in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in the late Qing era, and they had the same political and social orientation as the new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attempting to reform the conservative Buddhist community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y publicly claimed that they represented all Buddhist communities in China, which were recognized by the new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y insisted on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o protect the independence of Buddhism from politics. At the same time, they declared that all Buddhists, regardless of their status as monastic or laity, should join the Buddhist Association and hold equal status, but only those judged to be capable could have management authority. Describing itself as a universal enlightenment movement organization, the Buddhist Association assumed the duties of not only internal Buddhist affairs—such as the study of tenets, propagation of the Buddha-dharma, and study/upholding of the precepts—but also doing charity work and enlightening the people. However, as an organization hastily formed by a small number of radical intellectuals, the Buddhist Association soon confronted issues due to being out of touch with reality as well as internal contradictions between its practices and principles. These issues included ignoring the existence of the monastic sangha—which made up most of the Buddhist community at the time—and attempting to monopolize all Buddhism-related work. Furthermore, it sought to obtain state approval for this purpose, thereby violating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that it had originally advocated. Because of these issues, the Buddhist Association was disbanded at the end of the same year it began (1912), but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experience of this failure became a stepping stone for the modernization of Chinese Buddhism.
목차
Ⅰ. 들어가며Ⅱ. 불교회의 설립 주체와 설립 과정
1. 불교회의 설립 주체와 성격
2. 불교회의 설립 과정과 특징
Ⅲ. 불교회의 개혁방안
1. 「승인조건」의 내용
2. 「불교회대강」의 내용
Ⅳ.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