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황 출토 티벳어 사본에 나타난 마하연의 선사상 재조명/ 차상엽(경북대 도서사상연구소) 2021.08. 7집(357-393) > 논문 다운로드

The Center for Daehaeng-Seon Studies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7집 돈황 출토 티벳어 사본에 나타난 마하연의 선사상 재조명/ 차상엽(경북대 도서사상연구소) 2021.08. 7집(357-393)

차상엽(경북대 도서사상연구소) 2021.08. 7집(357-393)

본문

초록

8세기말 티쏭데짼(Khri srong lde brtsan, 742~800년경) 왕 때 티벳의 쌈얘(bSam yas) 사원에서 인도불교도의 ‘점수론’을 대변하는 후기중관학자 까말라씰라(Kamalaśīla, 740~795년경)와 중국 선불교도의 ‘돈오론’을 대변하는 돈황 출신 화상和尙 마하연(摩訶衍, 8세기말) 사이에 논쟁이 벌어졌다. 후대 티벳 사람들은 이를 쌈얘논쟁(쌈얘쬐빠 bSam yas rtsod pa)이라고 일컫는다. 이 논쟁에서 까말라씰라는 승리하게 되고, 마하연과 그를 따르는 이들은 그 논쟁에서 패자임을 인정하고 티벳을 떠나며, 왕은 용수(Nāgārjuna, 150~250년경)의 교설을 바탕으로 한 인도불교의 가르침이 정법임을 선언하게 되었다고 티벳 역사가들과 사상가들은 기술한다. 하지만 돈황에서 출토된 한문 사본인 왕석(王錫, 8세기말~9세기초)의 『돈오대승정리결頓悟大乘正理決』에서는 어떤 논쟁들과 관련한 내용을 상술하면서 화상 마하연이 승리하였다고 기술한다. 그렇다면 이 쌈얘논쟁의 역사적 진실은 과연 무엇일까.

본 연구에서는 쌈얘논쟁과 관련한 연구사를 검토한 후, 폴 외젠느 펠리오(Paul Eugène Pelliot, 1878~1945)가 돈황에서 발굴한 티벳어 사본 116, 823번과 한문 사본 4646번인 『돈오대승정리결』, 그리고 까말라씰라의 『수습차제(Bhāvanākrama)』의 일부 내용들을 비교하면서 화상 마하연의 선사상과 관련한 몇 가지 내용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쌈얘논쟁과 관련해서는 실제로 까말라씰라와 마하연이 티벳 왕의 주재 하에 벌어진 어전논쟁이라고 하는 ‘하나의 역사적 사건’이 아닌 문학적 요소가 반영된 ‘하나의 상징적 사건’일 가능성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두 번째로 ‘법성(法性, dharmatā)’과 ‘법성리法性理’라는 관점에서 인도불교도와 중국불교도 사이에 상이한 이해가 존재하고 있음을 소개하였다. 특히 ‘법성’과 대비를 이루는 절대의 관점인 ‘법성리’는 중국화한 개념이다.

세 번째로 ‘법성리’에 도달하기 위한 사유하지 않고 분별하지 않은 상태인 ‘myi bsam myI rtog pa’와 ‘불사불관不思不觀’으로 대변되는 마하연의 선사상은 ‘개별적 특징(상相, lakṣaṇa)’과 ‘특징적 징표(상相, nimitta)’인 ‘상相’을 ‘개념작용(상想, saṃjñā)’ 및 ‘망상妄想’으로 규정하는 입장과 연계되며, 이러한 그의 입장은 금강경 을 번역한 구마라지바(Kumārajīva,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3)의 자유로운 번역 스타일에서 기인한 ‘상相’과 ‘상想’의 혼용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In the late 8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Tibetan King Trisong Detsen (Khri srong lde brtsan, 742-c.800), there was a big debate in the Samye (bSam yas) Monastery in Tibet. Kamalaśīla (740-c.795), a Mādhyamikan who advocated the “gradual cultivation theory” of Indian Buddhism and Heshang Moheyan (fl. late 8th c.), who advocated the “sudden enlightenment theory” of Chinese Chan Buddhism, engaged in a debate. Later Tibetans referred to this as the Samye Debate (bSam yas rtsod pa). According to Tibetan historians and thinkers, the debate was won by Kamalaśīla, and Moheyan and his followers admitted defeat and left Tibet. The king then declared the teachings of Indian Buddhism to be the orthodox Dharma, which was based on the teaching of Nāgārjuna (150-c.250). However, a Chinese manuscript unearthed from Dunhuang, titled Dunwu dacheng zhengli jue (頓悟大乘正理決) and compiled by Wang Xi (late 8th c.-early 9th c.), gives a detailed description on some aspects of the debate and says that Heshang Moheyan won the debate. If so, what is the historical truth of the Samye Debate? This study first explores research history related to the Samye Debate, and then introduces content related to the Chan thought of Heshang Moheyan by comparing several texts, including Tibetan manuscripts No. 116 and 823, and Chinese manuscript No. 4646, the latter being the aforementioned Dunwu dacheng zhengli jue, all of which were unearthed by Paul Eugène Pelliot (1878-1945) from Dunhuang. I also examined Kamalaśīla’s Extensive Explanation of the Treatise on Bodhi-mind (Bhāvanākrama).

First, the Samye Debate is said to have been debated before the Tibetan king by Kamalaśīla and Moheyan. I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it may not have been “a historical event” but “a symbolic event” embellished with literary elements.

Second, I sugges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faxing (法性; dharmatā)” and “faxingli (法性理)” between Indian Buddhism and Chinese Buddhism.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faxingli,” which makes a contrast to “faxing,” is a Sinicized concept that takes a perspective of the absolute.

Third, for the purpose of attaining “faxingli,” Moheyan’s Chan thought is represented by the phrases “non-discriminative state of non-thought (myi bsam myI rtog pa)” and “no thinking, no contemplation.” Furthermore, Moheyan’s Chan thought is associated with the stance that “individual marks (相; lakṣaṇa)” and “characteristic marks (相; nimitta)” are defined as “ideation (想; saṃjñā)” and “delusional conceptualization (妄想).” I suggest this stanc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ixed use of the terms “marks (相)” and “ideations (想),” which originated from the rather free translation style of Kumārajīva (344-413) in his translation of the Diamond Sutra.


KEYWORD

Heshang Moheyan(和尙 摩訶衍), Kamalaśīla, gradual cultivation, sudden enlightenment, manuscripts of Dunhuang, prajñā, Kumārajīva





목차

Ⅰ. 서론
Ⅱ. 쌈얘논쟁과 관련한 연구사 검토
Ⅲ. 마하연의 선사상
1. 법성(dharmatā)과 법성리法性理
2. 미쌈미똑빠(myi bsam myI rtog pa)와 불사불관不思不觀 그리고 망상妄想의 여읨
Ⅳ. 결론
PDF RISS
Total 106건 2 페이지
논문 다운로드 목록
8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6집
6집
6집
6집
6집
6집
6집
6집
6집
5집
5집
5집
5집
5집
5집
5집
5집
4집
4집
4집
4집
4집
4집
4집
4집
3집
3집
3집
3집
3집
3집
3집
2집
2집
2집
2집
2집
2집
1집

검색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