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려관과 근대 제주불교 지평의 확장 / 정진희(혜달)(사) 봉려관불교문화연구원) 2023.08. 11집(101 - 153) > 논문 다운로드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11집 봉려관과 근대 제주불교 지평의 확장 / 정진희(혜달)(사) 봉려관불교문화연구원) 2023.08. 11집(101 - 153)

정진희(혜달)(사) 봉려관불교문화연구원) 2023.08. 11집(101 - 153) 10.23217/jhms.11..202308.003

본문

초록

봉려관은 1899년 집 앞을 지나던 비구로부터 관세음보살상을 건네받고서 처음 관음신앙을 가졌고, 1901년 비양도로 건너가던 중 거센 풍랑에도 목숨을 부지하면서 관음신력을 확신한다.

근대 제주불교 최초 비구니 봉려관은 한라산에 관음사를 최초 창건하였고, 제주와 일본 오사카에 10여 개 사찰을 중, 창건해서 200여 년간 지속된 제주불교 암흑기를 끝내고 마침내 근대 제주불교를 일으켜 세운다.

‘제주불교소녀단’, ‘제주불교부인회’를 창설해서 신여성 양성에 힘을 쏟았고, 관음사계 포교당마다 염불회를 조직해 매월 염불 법회를 봉행했으며, 매년 2월(음)에는 보름 동안 함께 염불수행하는 행사를 개최해서 제주불교를 하나로 묶어낸다.

1909년 항일을 결심한 봉려관은 1911년 항일 인사 은신처로 법정사를 창건해서 1918년 법정사 항일운동을 견인했고, 근 30년을 항일 자금조달 등 민족적 자존심 되찾기에 소홀하지 않았다. 현재 비구니 항일운동가로 공식 거론되는 첫 사례이고, 여성독립운동가 100인에도 선정된 인물이다.

봉려관은 지역 민중, 사회단체와 연대해서 제주사회가 직면한 어려움 극복에도 적극 나서는데, 유치원, ‘제주중학강습원’ 설립, 지역사회 행사에 의연금 출연, 황폐된 동수천 보수 및 음용할 샘(5개)을 파고, 기근구제회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지역사회문제 해결에 책임을 다한다.

봉려관은 관음신앙, 양심적 민족관에 의지해 근대 제주불교를 일으켜 세우고 중흥시켜 제주불교 지평을 확장했으며, 봉려관 이후 제주불교사에서 그를 뛰어넘는 업적을 남긴 분은 없다. 혹자는 봉려관이 근대 제주불교 역사이고 근대 제주불교 역사가 봉려관이라 한다. 힘겨운 시대 상황 속에서 봉려관이 보인 대담하고 진취적인 행보는 당시 엘리트 교육을 받은 걸출한 신여성에게도 뒤지지 않는다. 이제 더는 봉려관에게 빚을 져선 안 되며, 한국의 대표적인 여성 지도자로 볼 준비를 해야 한다.



Bongnyeogwan’s first encounter with faith in Avalokitesvara happened when she received a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from a bhikkhu who passed by in front of her house in 1899. While crossing on a boat to Biyangdo Island in 1901, she survived a strong storm and became convinced of the power of Avalokitesvara.

Bongnyeogwan, the first bhikkhuni from modern Jeju, established Gwaneumsa Temple on Mt. Hallasan, and founded about 10 temples on Jeju Island and in Osaka, Japan. In this way she ended a dark period in Jeju Buddhism that had lasted over 200 years, and firmly established Jeju Buddhism in the modern era.

By establishing the Jeju Buddhist Girls Group and Jeju Buddhist Women’s Association, she focused on nurturing “new women” and organized a Yeombul Association at several dharma propagation centers tied to Gwaneumsa Temple where she held a monthly yeombul assembly to practice reciting the names of buddhas. She also held an annual 15-day yeombul practice event in the second lunar month. In this way she united Jeju Buddhists into a cohesive group.

Having decided to fight against Japan in 1909, Bongnyeogwan founded Beopjeongsa Temple in 1911 which also became a hideout for anti-Japanese resistance fighters; she also led the Beopjeongsa Anti-Japanese Movement that was formed in 1918. For over 30 years she raised funds for the anti-Japanese movement, never ceasing in her efforts to regain national pride. Today she is recognized as the first bhikkhuni anti-Japanese activist, and she is also listed as one of 100 female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Bongnyeogwan actively work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faced by Jeju’s citizens, working in solidarity with local residents and social groups. A list of her achievements include: establishing a kindergarten and the Jeju Middle-School-Level Training Institute, provided funds for community events, repaired the devastated Dongsu Stream, had five wells dug to provide drinking water, and served as an executive member of the Famine Relief Association, fulfilling her responsibilities to resolve community problems.

Bongnyeogwan expanded the horizons of Jeju Buddhism by reforming and revitalizing Jeju Buddhism based on faith in Avalokitesvara and a spirit of conscientious nationalism. In Jeju Buddhist history, since Bongnyeogwan, no one has come along who can surpass her achievements. Some say that Bongnyeogwan’s life is the history of modern Jeju Buddhism, and that the history of modern Jeju Buddhism is Bongnyeogwan’s life. Her bold and enterprising actions in difficult times were equal to the actions of other outstanding women who received an elite education at the time. We should acknowledge our debt to women like Bongnyeogwan and recognize her as one of Korea’s outstanding female leader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근대 제주불교 개척자
1. 근대 제주불교 최초 비구니
2. 근대 제주불교 중흥조
3. 봉려관과 관음신앙
III. 비구니 항일독립운동가
1. 법정사 창건
2. 법정사 항일운동 견인
3. 군자금 조달
IV. 대사회 활동
1. 구제
2. 교육
3. 기타
V. 나오는 말
PDF KCI
Total 94건 1 페이지
논문 다운로드 목록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9집
9집
9집
9집
9집
9집
9집
9집
8집
8집
8집
8집
8집
8집
8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6집

검색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