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집 한국불교의 사회 참여의 새로운 모습- 대행大行의 실존적, 사회적 존재와의 만남- / 박진영(아메리칸대 교수)2025.02.14…
박진영(아메리칸대 교수)
본문
초록
대행大行(1927~2012)은 근∙현대 한국 불교에서 가장 잘 알려지고 가장 많이 연구된 비구니 선사 중 한 사람이다. 이 글에서는 대행의 삶,특히산중수행을통해얻은대행의깨침의중심주제를주변인에 대한가르침이라고보고, 그의미를살펴본다. 종교행위는근본적으로 인간이 주변적 존재라는 현실에 대한 자각에 의해 형성된 노력이다. 죽음으로 한계 지어지는 존재로서 인간은 종교 행위를 통해 자신의 존재적 주변성을 극복하려고한다. 그러나주변성은인간존재뿐 아니 라, 인간과다른생명과의관계, 그리고나아가인간과자연과의관계를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직면한 환경문제, 생태 문제를 생각할 때 또한 차별적인 위계질서에 근거한 오늘의 사회 현실에서 사회의 주변에 머무르는 많은 존재자들의 삶의 고통을 생각할 때, 대행의주변적존재에대한가르침은주요한사회참여의모습이된다. 대행의 산중 수행은 자신의 주변적 존재성, 그 존재의 고통에 대한 경험, 깨침을통해다른존재자의주변성과고통을 이해하고 배려함을 강조하는 가르침으로 발전하였다. 대행의 사회참여는 국내외에 설립된 한마음 선원, 멀티미디어를 통한포교등다양한방식으로이루어졌지만, 이글이주목하는주변성 과 이를 통해 현시대의 문제점에 접근하는 것은 대행 불교의 사회 참여가 오늘의 사회에 갖는 주요한 의미를 조명해 준다.
Seon Master Daehaeng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and studied nuns in modern Korean Buddhism. This article focuses on Daehaeng’s discussion of marginality, one of her central teachings, which offers a path for Buddhism to engage with society in our time. During her time in the mountains, Daehaeng underwent a profound existential struggle, coming to terms with her fragility, vulnerability, and marginalized social and ex- istential position. Her awakening to marginality extended be- yond her own position in the life world and became the founda- tion for her relationships with other beings and with nature. Engaging in religious practice is a human effort to overcome existential marginality, a condition rooted in the unavoidable reality of one’s own demise. Marginality is not only crucial for understanding human existential condition but also essential for comprehending human beings’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further, their connection with nature. Given the current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rises, along- side the societal reality in which discriminatory and hierarchical relationships continue to cause suffering for people living on the margins, Daehaeng’s teaching on marginality stands out as a unique aspect of her approach to Buddhism. The establishment of Hanmaeum Seon Centers both within South Korea and internationally, coupled with the use of multi- media tools and other outreach activities, demonstrates Daehaeng's social engagement. This article, however, focuses on marginality as Daehaeng's central teaching, highlighting how addressing various social issues through her teachings on mar- ginality can reveal a new dimension of both Daehaeng’s and Korean Buddhism’s social engagement.
목차
Ⅰ. 들어가는 말II. 황야에서의 삶: 존재의 근본에 대하여
III.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 주변성과 성찰적 참여에 대하여
IV. 나가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