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행선사의 육성肉聲 전법 / 최원섭(대행선연구원 연구원)2025.02.14집(15-50) > 논문 다운로드

The Center for Daehaeng-Seon Studies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14집 대행선사의 육성肉聲 전법 / 최원섭(대행선연구원 연구원)2025.02.14집(15-50)

최원섭(대행선연구원 연구원)

본문

초록

이 글은 월터 옹이 설명하는 구술문화와 문자문화의 관점에서 대행선사(1927~2012)의 법어와 법어집을 살펴본 것이다. 육성을 통한 설법은 대화에 생동감이 넘치고 설법자의 감정을 그대로 전달하는 특징을 갖는다. 반면에 이것을 문자로 기록할 경우 시간이 지나도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긴다. 석존은 평생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일상적인 언어로 설법하였는데, 이러한 석존의 대면 설법은 단순히 말뿐만 아니라 행동과 비유를 통해서도 이루어졌다. 석존의 설법은 시간이 흐른 후에 결집을 통해 문자화되어 후대에 전해졌다. 제자와 직접 대면하면서 제접을 하는 중국의 선종 역시 자연스럽게 구어체 언어와 행동 모두가 제접의 수단이 되었고, 이것을 어록의 형태로 그대로 기록하였다. 20세기 대행선사는 불교 용어를 최소화하고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법문하였다. 특히 서울 사투리와 친근한 말투로 신도들에게 친근한 느낌을 주었고, 생활 속 문제를 다루며 현대적인 비유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러한 대행선사의 법문은 음성과 영상으로 기록되어 법어집으로 출간되었는데, 법어집 편찬의 기조는 법회 현장의 생생함을 전달하는 것이었다.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법문을 보존하고 전파한 것이 대행선사의 육성 전법의 가장 특징적인 장점이다. 결론적으로 대행선사의 육성 전법은 석존 이래 항상 대중과 얼굴을 마주하여 함께하려는 불교의 전법 특징을 계승하면서도 현대 매체를 활용해 시공간을 초월한 교화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육성과 문자가 함께 공존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Damyeon Seongyeong lived at a difficult time in history. Life then was chaotic, and her opportunities to learn were scarce. However, she entered monastic life thanks to her Buddhist connections and walked the path of a noble practitioner. Upon entering monastic life, she cultivated her faith and solidified her foundation to study Seon (Chan/Zen) meditation. Under the guidance of Mangong, she began practicing Seon with such fervor that she often forgot whether it was day or night, in addition to not eating properly. She devoted her entire life to investigating the hwadu: "All things return to the one. To where does the one return?" The world of Seongyeong's enlightenment was simple and clear, a world of great, unobstructed freedom. Later, she began an itinerant practice, traveling to various parts of Korea and engaging in "dharma duels" with several Seon monks. Even though she was a nun of small stature, she proudly carried out her dharma duels with confidence and dignity. Throughout her life, she always kept her hwadu in mind and considered herself to be one with it. In this way, by maintaining her practice after awakening, she further cultivated her awakening and found ways to transfer what she had learned to others. The fact that Seongyeong attained enlightenment after practicing tirelessly day and night with firm determination makes her a great model for future generations of nuns. She treated her younger students with compassion, like a loving mother, and encouraged them to practice by emphasizing their strengths. Seongyeong's Seon practice is still cited as the model of an exemplary practitioner. As such, the mission to follow in her footsteps and pass on the tradition of Seon practice still remains for younger generations.


목차

Ⅰ. 서언: 육성과 문자
Ⅱ. 대면 설법의 의의와 전승
1. 석존의 대면 설법의 특징
2. 중국 선종의 제접과 선어록
Ⅲ. 대행선사의 법문과 법어집
1. 대행선사 법문의 특징
2. 구어체 법어집
Ⅳ. 매체를 통한 육성 전법의 의의
Ⅴ. 결어: 육성과 문자가 함께하는 21세기
PDF KCI
Total 118건 1 페이지
논문 다운로드 목록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9집
9집

검색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