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이법不二法과 한마음의 중도사상- 대행선사의 『뜻으로 푼 금강경』을 중심으로- / 김창언(청강, 대한불교조계종 화계사 교무국장)2025.02.14집(95-140) > 논문 다운로드

The Center for Daehaeng-Seon Studies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14집 불이법不二法과 한마음의 중도사상- 대행선사의 『뜻으로 푼 금강경』을 중심으로- / 김창언(청강, 대한불교조계종 화계사 교무국장…

김창언(청강, 대한불교조계종 화계사 교무국장)

본문

초록

대행선사(1927~2012)는 <뜻으로 푼 금강경>에서 ‘둘이 아닌 도리[不 二法]’와 ‘한마음’의 중도사상을 통해 중생들에게 바라밀 실천의 중요성 을 강조하였다. 대행선사의 ‘둘이 아닌 도리’는 <중론>에서 논의된 속제와 진제의 중도사상, <유마경>의 불이법不二法 사상, 그리고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에서 다룬 유有와 무無에 관한 중도사상과 상통한다. 대행선사는 ‘내면과 외부’, ‘만법萬法’, ‘자타自他’, ‘둘 아닌 삼매三昧’, ‘선禪과 경經’, ‘복덕과지혜’ 등의개념을중심으로불이법의주요내용을제시하였다. 그는 중도를 중용中庸이라고 표현하며, 깨달은 불보살이 동체대비同體 大悲의 자비심을 발휘해 무無와 유有, 정신계와 물질계를 섭수하여 보살행을실천하는것을중용의 실천이라고 보았다. 나아가 일반 범부들도 비록 깨달음을 얻지 못했더라도 자신의 주인공主人空 뿌리에 모든 것을 맡기고, 자신의 생각과 흐름을 그대로 밀고 나가는 것이 곧 중용의 삶이라고 설명하였다. <뜻으로 푼 금강경>에서 대행선사는 ‘한마음’을 61회에 걸쳐 언급하 였으며, 이는 ‘유생有生∙무생無生’, ‘유위법有爲法∙무위법無爲法’의 중 도사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한마음의 사상은 석가모니가 깨달은 중도 사상과 원효의 일심一心 사상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대행선사의 수행체계는 금강행자로 하여금 자신이 천지인과 우주 만물이 한마음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게 하고, 일체가 나로부터 비롯되며 내면에 금강반야金剛般若의 지혜가 있어 모든 것을 지혜롭게 해결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한다. 나아가 육바라밀을 실천함에 있어 나와 상대가 둘이 아닌 한마음임을 자각하고, 함이 없는[無爲] 진실한 한마음으로 바라밀을 실천하도록 이끈다. 이와 같이 대행선사의 <뜻으로 푼 금강경>은 불이법과 한마음의 중도사상을 통해 바라밀 실천의 구체적인 수행 방향을제시하며, 중도 사상의 실천적 의미를 현대적 삶 속에서 구현하도록 안내한다.


In her writing titled The Diamond Sutra Guidebook Based on Its Meanings, Seon Master Daehaeng (1927–2012) empha- sized the importance of practicing perfection (pāramitās) through the concepts of non-duality and the Middle Way of One Mind. Daehaeng’s notion of non-duality aligns with the concept of the Middle Way as discussed in the Madhyamaka-śāstra, which integrates conventional and ultimate truths. It also resonates with the concept of non-duality articulated in the Vimalakīrti -nirdeśa-sūtra and Wonhyo’s philosophy of the Middle Way concerning existence and non-existence, as he elaborated in his Commentary on the Vajrasamadhi-sutra. Daehaeng pre- sented the main points on the concept of non-duality by focusing on the concepts of: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ll phe- nomena,” “self and other,” “non-dual samadhi,” “Seon and su- tras,” and “meritorious virtues and wisdom.” She explained the Middle Way as moderation and viewed the practice of moder- ation as a bodhisattva practice performed by an enlightened buddha or bodhisattva when they integrate existence and non-existence, as well as the spiritual and material worlds, by arousing great compassion based on the idea that all beings have the same original nature. Daehaeng further explained that even for ordinary people who have not achieved enlightenment, entrusting everything to their foundation of Juingong and mov- ing forward autonomously exemplifies a life of moderation. In her book titled The Diamond Sutra Guidebook Based on Its Meanings, Daehaeng mentioned the concept of One Mind (Hanmaum) 61 times, as well as the concept of Middle Way, integrating “the arisen and the not arisen,” and “the conditioned and unconditioned.” This concept of One Mind is deeply related to the Middle Way realized by Shakyamuni Buddha and Wonhyo’s concept of one mind (ilsim, ⼀⼼). Daehaeng’s practice system allows an unwavering practi- tioner to realize that with their One Mind, they are connected to “heaven, earth, and man,” as well as to all things in the uni- verse; it also allows the practitioner to have the confidence that everything originates from them and that the wisdom of the Diamond Prajna within themselves can wisely resolve everything. Furthermore, in practicing the six paramitas, the One Mind guides them to realize that self and others are not two but One Mind, and leads them to practice the paramitas with a true One Mind, doing things spontaneously with no thought of doing. In this way, Daehaeng’s The Diamond Sutra Guidebook Based on Its Meanings presents a specific practice direction for prac- ticing the paramitas through the Middle Way concepts of non-duality and One Mind. It guides the practitioner to imple- ment the practical message of the Middle Way idea in modern lif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II. 대행선사의 『뜻으로 푼 금강경』 의미와 특징
III. 둘 아닌 도리〔不二法〕의 의미와 중도사상
IV. 한마음의 의미와 중도사상
V. 나가는 말
PDF KCI
Total 118건 1 페이지
논문 다운로드 목록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4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3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9집
9집

검색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