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념요록』 왕생담에 나타난 조선 왕실 여성의 관상염불수행 / 이선이(태경(동국대) 2023.08. 11집(55 - 99) > 논문 다운로드

우리는 각자 자성불(自性佛)을 모시고 있다.
어찌 솟아날 구멍이 없다고 하겠는가.

논문 다운로드

11집 『권념요록』 왕생담에 나타난 조선 왕실 여성의 관상염불수행 / 이선이(태경(동국대) 2023.08. 11집(55 - 99)

이선이(태경(동국대) 2023.08. 11집(55 - 99) 10.23217/jhms.11..202308.002

본문

초록

본 논고에서는 『권념요록』 서문의 복원문을 바탕으로 「왕랑반혼전」을 언급한 부분을 보완하고 수정하여, 『권념요록』의 저술 목적이 『용서증광정토문』의 수지법문을 활용한 구품왕생임을 밝혔다.

허응당 보우의 『권념요록』의 서문∙왕생담∙수행법은 『용서증광정토문』의 염불보응인연∙수지법문∙감응사적에서 영향을 받았다.

『권념요록』의 저술 목적은 『예념미타도량참법』의 서문과 결의생신의 구생 개념을 활용한다. 저술 목적에 부합하는 대표적인 왕생 이야기는 「왕랑반혼전」의 왕생 모습으로 보여준다. 「왕랑반혼전」은 허응당 보우가 활동하던 당시 사람들이 요구하는 왕생의 모습이다.

『권념요록』의 왕생담은 『예념미타도량참법』 왕생전록의 왕생전과 불교적인 신분 분류를 받아들이지만,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다. 왕생담은 왕생전록의 체계가 아닌 『관무량수경』의 소의인 삼종정업의 체계로 변화한다. 허응당 보우가 활동하던 당시 효를 강조하는 유교와의 갈등을 해소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허응당 보우는 참고한 문헌의 분류를 따르지 않고 자신의 이해 방식으로 『권념요록』을 저술하였다고 할 수 있다. 왕생담의 구성은 정업을 권념하는 체계로 보았고, 대표적인 왕생담은 우리 정서의 「왕랑반혼전」이고, 실제 왕생을 보여주는 여성 주인공의 왕생담은 『권념요록』의 대상이 여성임을 가리킨다. 수행법은 아미타불의 구념口念과 불보살의 모습을 떠올리는 심사心思가 상응하여 하나가 되는 관상염불수행이다.

허응당 보우와 문정왕후의 관계를 염두에 두면, 이 『권념요록』은 조선의 왕실 여성들이 정업원에서 정업의 수행법으로 보기에 충분해진다. 정업의 실천인 관상 염불을 통한 구품왕생을 보여주고자 염불을 권하며 『권념요록』을 저술한 것이다.



This study clarifies that the purpose for writing Gwonnyeom yorok(Essential Document of Advising Yeombul; 勸念要錄) was belief in the concept of rebirth in the nine grades of the Pure Land. This text encouraged devotees to receive and keep the sutra as recorded in the Longshu zengguang jingtuwen (龍舒增光淨土文). I was able to confirm this based on a restored version of the introduction to Gwonnyeom yorok, and by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part of the book that mentioned Tale of Wang-nang’s Resurrection (Wangnang banhon jeon; 王郞返魂傳).

In Heoeung Bou’s Gwonnyeom yorok, the preface, stories of rebirth in paradise, and practice methods were all influenced by Longshe zengguang jingtuwen (龍舒增光淨土文), specifically from the concepts of the rewards of yeombul practice, the recommendation to receive and keep the sutra, and the communion of minds of the Buddha and practitioners.

The purpose of writing Gwonnyeom yorok was to utilize the preface in the Repentance Ritual to Amitabha Buddha (Yenyeom mitadoryang chambeop; 禮念彌陀道場懺法), and the concept of saving lives. A typical story of rebirth that meets the purpose of writing is shown by the way rebirth happened in Tale of Wang-nang’s Resurrection, which reveals the types of rebirth people aspired to when Bou was alive.

Rebirth stories in the Wangsaeng-dam section of Gwonnyeom yorok accept both the Buddhist classification of status and birth stories listed in the Wangsaeng-jeollok section of Repentance Ritual to Amitabha Buddha, but the section’s new interpretation is possible. Wangsaeng-dam does not follow the Wangsaeng-jeollok system, but changes to the system of “three kinds of pure acts,” which is the basis of the Contemplation Sutra (觀無量壽經). When Bou was still alive, this change was meant to resolve conflicts with Confucianism which emphasized filial piety.

Therefore, we can say that Bou wrote Gwonnyeom yorokbased on his own understanding, not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of other literature. The content of the Wangsaeng-dam section was viewed as a system that praises “pure acts.” One iconic rebirth story is Tale of Wang-nang’s Resurrection, a story based on Korean sentiment. And the fact that its protagonist, Wangnang, is female indicates that the book’s target audience is women. The practice the book discusses is “Gwansang Yeombul,” a practice where the minds of devotees commune with the mind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by chanting Amitabha Buddha’s name while visualizing image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u and Queen Consort Munjeong, we can safely assume that Gwonnyeom yorok was meant to encourage Joseon’s royal women to practice “pure acts” at the Pure Acts Temple (Jeongeobwon). In order to show that one can be reborn in the nine grades of the Pure Land by practicing Gwansang Yeombul, Bou propagated yeombul practice and wrote Gwonnyeom yorok.


목차

I. 서론
II. 『권념요록』 서문의 전거 및 구성 의도
1. 서문의 형성 과정과 구성
2. 저술 목적의 변화
3. 서문과 「왕랑반혼전」의 관계
III. 10종 왕생담의 내용과 체계 분석
1. 『관무량수경』의 정업과 구품왕생
2. 10종 왕생담의 내용과 연결구조
IV. 서문과 허응당 보우의 관상법
V. 결론: 조선 왕실 여성의 관상염불수행 방법
PDF KCI
Total 94건 1 페이지
논문 다운로드 목록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2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1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10집
9집
9집
9집
9집
9집
9집
9집
9집
8집
8집
8집
8집
8집
8집
8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7집
6집

검색


(1390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 1280-10 대행선연구원
전화번호 : 031-470-3277(대표), 3276
Copyright (c) 2021 대행선연구원. All Rights Reserved.